목록Data science (10)
DataScience

● 스택[Stack] : 끝에서만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 선형 자료구조 스택이란 프링글스의 과자를 위에서부터 꺼내 먹는 것처럼 삽입과 삭제 연산이 후입선출(LIFO)로 이뤄지는 자료구조를 말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empty stack에 새값이 하나씩 들어가고, 스택에서 값을 빼낼 때는 제일 위에 있던 값이 나오게 되는 것을 볼수 있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를 이용하여 쉽게 스택을 구현할수 있다. 1. 스택의 특징 1. 후입선출은 삽입과 삭제가 한 쪽으로만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스택에서 데이터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삽입, 삭제의 시간 복잡도는 O(1) 이다. 3. 파이썬에서 스택을 사용할때 별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없다. 4. 깊이 우선 탐색[DFS], 백트래킹 등의 알고리..

자료구조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접근, 수정하기 위한 그릇을 뜻하며, 즉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라로 생각하면 된다. 자료구조에는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가지 유형이 있다. 1. Linear data structure : 원소들이 메모리 공간 측면에서 선형적으로 연결되있는 경우, 즉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모임 2. Non-linear data structure : 원소들이 순서 개념으로 정돈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비연속적으로 연결되 있는 데이터의 모임 ● 배열[Array] :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배열이란 연관된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그룹핑해서 관리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특히 배열의 값은 인덱스를 통해 참조할 수 있으며, 선언한 자료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