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ing Review/programmers

[LV1] 완주하지 못한 선수 - Python(해시)

다크미라클 2022. 10. 4. 21:14

[LV1] 완주하지 못한 선수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입출력 예#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입출력 예#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


입출력 예시 


풀이 및 코드 리뷰

내가 제출한 답 (오답)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wer = 0
    for part in participant:
        if part not in completion:
            answer = part
            break
        elif part in completion :
            completion.remove(part)    
            
    return answer

 

  • 처음 제출한 문제의 답이다. 참가자에서 각 문자를 추출하여 완주자와 비교하여 동명이인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을    추출 하였다.
  • 동명이인의 경우 참가자들을 완주자와 1명씩 비교하여 완주자에 참가자가 있는경우 참가자를 제거하여 남은 사람을 return값으로 하였다.
  • 그러나 100000개 이상의 입력값에 따른 시간복잡도의 문제로 리스트 형태로 문제를 풀게될시 정확도가 만점일지 몰라도 효율성이 0점이 나왔다.

다른 사람의 풀이1

import collections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wer = collections.Counter(participant) - collections.Counter(completion)
    return list(answer.keys())[0]
  • collections.Counter()을 사용하여 차집합을 구할수 있다
  • List내 각 값들과, 그 값들이 몇개씩 있는지 확인할수 있음 Dictionary 방식으로 출력된다.

다른 사람의 풀이2

# 딕션어리 자료형으로 표현
# k, v = 사람이름, 그 이름에 대한 사람 수
# 참가를 하면 value +1 / 완주를 하면 value -1
# ---> 1명만 있었다면, key를 삭제
# 마지막에 value == 1인 key가 못들어온 사람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wer =""
    # 0) 자료를 정리할 나의 변수 & 자료형
    people_dict = {}
    # 1) 참가자들을 가지고 리스트 업 : name_count (+)
    for p in participant:
        # 이미 등록된 이름이냐 -> +1 (갱신)
        if p in people_dict: # True : 이미 등록된 이름
            people_dict[p] += 1
        # 새로운 이름이냐 => 이름도 등록, 값 = 1 (신규등록)
        else :
            people_dict[p] = 1
        
    # 2) 완주자에 대한 정리 : name_count (-)-> 참가자들을 지울 것..
    # 완주자 1명씩 불러다가 이름이 뭔지 물어보는 과정
    for p in completion:
        # 1명만 참가를 하고, 완주를 했는지
        if people_dict[p] == 1:
            del people_dict[p]
        # 2명 이상 참가를 했고, 완주를 했는지
        else :
            people_dict[p] -= 1
    
    # 최종결과) value == 1인 key가 정답
    answer = list(people_dict.keys())[0]
    return str(answer)
 

참고 자료

1. 해시 (Hash)  :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나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 해시   알고리즘을  해시 함수라고 부르며,  해시 함수로 변환된 값이나 키를 해시값 또는 해시키라고 부른다.

2. collections.Counter()  :  파이썬에 내장되어 있는 collections 모듈의 Counter 클래스를 이용하면 리스트, 딕셔너리, 문자열 등의 데이터의 개수를 딕셔니리의 형식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3. 소스코드 예제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리스트 = ["a",2,3,4,"b",3,4,"b",1]
딕션 = {"a":1, "b":2, 3:2}
문자열 = "aa231bb231211"
print(Counter(리스트))
print(Counter(딕션))
print(Counter(문자열))

결과